2015. 9. 3. 19:57ㆍ■ 풍경쌤수업자료실/숲속교실수업자료
독초와 약초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지만 잘못 먹거나 만지면 해가 되는 것이 독초입니다. 반면에 병을 치료하는 데 쓰이는 약초도 있습니다. 그러나 식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 약으로 쓰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아무리 약초라 하더라도 잘못 쓰면 독이 될 수도 있고, 비슷비슷한 식물들을 정확히 구별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떤 약초든 함부로 써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독초와 약초에 대해 알아 두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독이 있는 주변의 식물들
애기똥풀 |
꺾으면 노란 물이 나오고, 먹으면 구역질이 나거나 설사를 일으킵니다. |
자리공 |
보라색 열매를 먹으면 구역질이 나고 설사를 일으킵니다. |
미나리아재비 |
씹으면 혀가 짜릿하고, 먹으면 목구멍과 위장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
옻나무 |
잎이나 줄기에 상처를 내면 흰 물이 나오며 몸에 닿으면 가려움증을 일으킵니다. |
능소화 |
꽃의 물이 눈에 들어가면 붓고 염증을 일으킵니다. |
은방울꽃 |
산지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데 뿌리에 독이 있어 먹으면 설사가 나고 온몸이 마비가 되기도 합니다. |
쐐기풀 |
산과 들에 흔한 풀로 작은 가시가 닿으면 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
굴거리나무 |
잎이나 껍질을 씹으면 구역질과 설사가 납니다. |
급약으로 쓰이는 주변의 식물들
벌레에 물렸을 때 |
|
|
명아주 |
쇠비름 |
기린초 |
|
|
|
잎을 짜서 나오는 즙을 바르면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잎을 손으로 비벼서 나오는 즙을 바르면 가려움증을 덜 수 있습니다. |
잎을 으개어 즙을 바르면 가려움증이 사라집니다. 베인 상처에도 씁니다. |
부었을 때 |
|
|
질경이 |
제비꽃 |
삼백초 |
|
|
|
물에 씻은 깨끗한 잎을 불에 쬐어 부드럽게 한 후 상처에 붙이면 좋습니다. |
전체를 소금을 잘 비벼서 바르면 해독 작용을 합니다. |
잘 씻어 신문지로 싼 다음 불에 쪄서 부드러워진 것을 상처에 붙이면 붓기가 가라앉습니다. |
피부에 염증이 생겼을 때 |
불에 데었을 때 |
베었을 때 |
괭이밥 |
자운영 |
고마리 |
|
|
|
풀을 그릇에 넣고 잘 짓이겨 즙을 내어 바르면 전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습니다. |
짜낸 즙을 바르면 화상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잎과 줄기를 비벼서 나오는 즙을 바르면 상처의 피가 멈춥니다. |
'■ 풍경쌤수업자료실 > 숲속교실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자료] 책 속의 한 줄 (0) | 2015.10.16 |
---|---|
[PPT수업자료] 공기정화식물들 (0) | 2015.10.14 |
[문서작성] 한글에서 이력서에 사진 넣는 방법 (0) | 2015.09.03 |
[문서작성자료] 캡처도구를 이용하여 약도 복사하기 (0) | 2015.08.27 |
[Excel교안] 피벗테이블과 피벗 차트 (0) | 201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