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광 사광 순광

2015. 6. 10. 14:14■ Andante/빛그림이야기

728x90

역광 사광 순광


--------------------------------------------------------------------------------
1.역광
피사체의 뒤쪽에 광원이 있어서 찍는 사람이 광원을 향하여 찍는 방법
“사진은 역광으로 찍어라.”,“찍는 소재가 없으면 태양을 보고 걸어라”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진에 있어 역광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역광사진의 효과
①가장 극적이고 로맨틱한 사진이 된다.
②피사체의 윤곽에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③빛과 그림자가 강조 되어 개성적인 사진이 만들어진다.
④보다 더 강렬하고 효과적이다.
2)테크닉
①적정노출에서 한·두 단계 +하는 경우가 많다.
②피사체가 가까운 거리의 경우는 순광 시의 노출 보다도 2단계 열어
주어야 한다.
③피사체가 중간 거리의 경우는 역광부분과 그림자 부분의 노출에서
중간치로 정한다.
④피사체의 윤곽을 돋보이게 표현 할 경우 피사체의 정면을 비추는 가장
밝은 빛의 2배 이상의 밝음이 지닌 역광이 필요.
3)주의할 점
①렌즈에 역광을 직접 받으면 사진 전체가 뿌옇게 나오거나 고스트 이미지 (GHOST IMAGE)를 만들기도 하며,플레어(FLARE)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②렌즈 후드를 사용할 것. 부족 시 손바닥 및 우산 신문지등을 이용할것.
③빛의 취급 법에 실패하여 노출 측정을 제대로 못하면 사진을 망치는 경우가 있어 기술적 곤란이 수반된다.
--------------------------------------------------------------------------------
2.정면광(순광)
피사체에 정면으로 빛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촬영하는 방법. 태양을 등지고 찍는 방법.
1)사물의 복사 및 칼라 사진의 색 재현에도 가장 알맞은 광선.
2)사진에 깊이가 없고 콘트라스트도 약하며 평범하다.
3)피사체가 존재해 있는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3.반역광(사광선)
피사체의 좌·우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
1)피사체에 입체감을 만들어 주어 효과적인 묘사를 할 수 있다.
2)질감묘사에도 유리하다.
3)분위기 묘사나 심리적 표현에도 효과가 크다.
4)작품에 중후한 맛을 준다.


--------------------------------------------------------------------------------
4.직하광
피사체 바로 위에서 쏟아져 내리는 빛
1)짙은 그림자를 만들어 주며,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2)여름날 정오경의 햇빛이 이에 속하며,한여름 정오시간은 피하는 것이 좋다.
--------------------------------------------------------------------------------
5.상향광
피사체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비추는 빛
1)자연계에는 없으며,인공광에 의한 조명으로 만들어 진다.
2)특별한 경우외는 쓰이지 않는다.
--------------------------------------------------------------------------------
6.결론
광원 및 광선의 질 또는 방향에 따라 사진은 그 분위기와 효과가 판연히 달라진다.
작가가 되려면 우선 이 빛을 정복해야만 한다.
빛은 사진 영상의 원료(MATERIAL)이기 때문이다.
빛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법은 사진을 많이 찍어보고 연구하는 것이 최선의 비결이다.
--------------------------------------------------------------------------------